본문 바로가기

쏠쏠한 news

제롬파월, 12월부터 금리인상 속도조절 / 제조업 PMI

반응형

✔ 경제신문 스크랩

 

  " 제롬 파월,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사 요약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

☞ 30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Fed) 제롬 파월 의장의 말

①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근접하여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게 타당하다.

금리인상 속도 조절 시점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될 수 있다.

③ 40여 년 만의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려면 노동시장이 진정돼야 한다.

④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한 달 데이터에 불과하고 물가상승률이 수개월 하락한 뒤 다시 상승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더 많은 증거 필요하다.

⑤ 최종 금리 수준은 9월 예상보다 다소 높아질 것이다.(9월 기준금리 중간값 연 4.6%보다 실제 기준금리가 높아질 것)

 

12월 기준금리 얼마나 인상될까?

12월엔 0.5% 포인트(빅스텝) 인상할 확률이 66%에서 77%로 높아짐.

내년 3월 금리 수준은 연 5.0%~5.25%에서 연 4.75~5.0%로 전망.

 

[기사링크] : 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120192771

 

✔ 스크랩 리뷰

어제 증시는 파월의 발표로 상승했습니다. 그런 분위기가 이어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었으나 제조업 PMI 구매자관리자 지수가 49.0으로 2년 반 만에 최저치로 나오며 경기 둔화 우려로 외국인이 매도하면서 오늘은 대부분 하락세입니다. 

 

  "경기 침체 우려 확산으로 증시 하락" 기사 요약

경기 둔화 우려로 코스피 하락 

제조업 PMI 구매자관리자 지수 2년 반만에 최저치.

경기 둔화 우려로 기관과 외국인 매도

경제 지표상 악재는 연준 정책상 호재로 해석됐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공식이 바뀌는 국면으로 진입.

 

[기사링크] : 경기 침체 우려 확산…코스피 0.9%대 하락 - 아시아경제 (asiae.co.kr)

 

  경제 용어 정리

제조업 PMI 구매자관리자 지수 : 매달 400개 이상의기업 전체 측정지표(신규수주, 수주잔량, 신규 수출수주, 수입, 생산, 공급자납기, 재고, 고객재고, 고용 및 물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응답자로부터 긍정적 전망 및 부정적 전망의 차이치 및 경기변동지수를 발표한다. PMI는 상이한 가중치를 신규수주30%, 생산25%, 고용20%, 공급자 운송시간 15%, 재고 10%를 통해 산출하는 종합지수이다.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국면(호황)이고 50이하인 경우 경기 수축 국면으로(불황)을 반영한다. 

 

  FACT CHECK

제조업 PMI 구매자 관리자 지수 확인해보기

investi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