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쏠쏠한 news

재세계화 시대 - 미국과 중국

반응형

✔ 경제신문 스크랩

  "재세계화 시대" 기사 요약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무역시스템을 조정하는 재세계화가 일어났다고 보도했다. 

- 어떤 나라도 자급자족할 수 없고, 다국적 기업들이 새로운 지정학적 도전에 적응하기 위해 세계화가 여전하다.

→ 세계화 종말이나 탈세계화가 아닌 글로벌 교역이 바뀐 것이다.

☞ 재세계화의 특징

-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서 유럽산 제품 수입을 늘림. 

- 조 바이든 행정부가 프렌드 쇼어링(friend shoring)을 하면서 유럽과의 교역이 증가함.

- 글로벌 반도체업계의 탈(脫) 중국 흐름.

→ 미국이 반도체 및 과학법 시행. 

→ 미 투자은행(IB)  코웬 : 향후 5년간 반도체 회사들이 중국 밖에서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 총 1100억 달러 이상 투자할 것. 

- 중국은 수출시장 다변화

→ 중국 주도로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아세한 10개국 등 15개국 참여하는 역내포괄적경제 동반자 협장 국가에 대한 수출 늘어날 전망.

- 대만과 밀착하는 국가에 중국이 경제적 보복

- 글로벌 무역 지도를 바꾼 주요 요인 : 우크라이나 전쟁 : 대(對)러시아 제재

→ 독일 : 러시아산 수입 감소

 

[기사링크] : 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20560291

 

☞ 2023년도 세계대전망

내년 세계 대부분 국가의 경기 침체 배경 세 가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① 지정학적 ②에너지 ③ 인플레이션 충격 

☞ 세계 주요국의 경기 침체 전망

- 미국 : 높은 금리인상에도 고용시장이 견조해 약한 불황 예상(고용이 튼튼하면 경제가 뒷받침함)

- 유럽 :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로 심각한 경기침체 전망.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경쟁으로 새로운 냉전

[미국]

동맹국 간 관계 강화하며 최근 국제 협력체도 늘림.

- 미국과 영국, 호주의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

→ 기술패권 :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 분리(디커플링) 가속화 전망.

- 중국을 대상으로 첨단 반도체 생산장비 등 수출 규제,

[중국, 러시아]

→ 중국과 러시아 뭉치고 있으며 경제대국의 위상을 활용해 이들이 주도하는 상하이협력기구(SOC)에 이란이 가입했고, 튀르키예도 가입의사 밝힘.

BUT,

중국은 수백년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였지만 내년 4월 세계 인구 대국이 인도가 될 전망이다. 제로 코로나 정책 후폭풍, 부동산 위기 등 중국의 인구와 경제 모두 정점을 찍었을 것이라는 분석. 그로 인해 약해진 중국이 세계를 재편하거나 대만을 장악하려는 중국이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이코노미스트가 경고함.

★ 기후·식량 위기 

 

[기사 링크] : 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20436251

"위기 장기화…퍼머크라이시스 시대가 온다" (naver.com)

 

✔ 경제 용어 정리

1) 탈세계화(deglobalization) : 세계화 뜻과 반대로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분야에서 타국과 교류하지 않으려는 현상.

 

2)  재세계화(reglobalization) : 무역량은 늘어나지만 무역 상대가 기존과 달라지는 것. 

 

3) 프랜드 쇼어링(friend shoring) : 2020년 만들어진 동맹쇼어링(Ally shoring)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공급망을 동맹·우방국을 통해 해결한다는 의미.(우방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4) 뉴노멀(New Normal) : 경제 위기 이후 5~10년간의 세계 경제를 특징짓는 현상, 과거를 반성하고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시점에서 등장함.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및 표준을 뜻함.

 

5) 퍼머크라이시스(perma crisis) : 영구적인(permanent)과 위기(crisis)를 합친 단어이며, 불안정과 불안이 장기간 걸쳐 지속된다는 의미.

 

6) 피크 차이나(peak China) : 중국의 부상이 정점을 찍었고 내려올 길로 접어들었다는 것 의미.

 

7)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acience Act) : 미국이 2022년 8월 9일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 고립하여 미국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반도체와 첨단기술 생태계 육성에 총 2800달러 투자하는 법안.

 

8)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알셉) :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과 한국,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 등 총 15개국 간 자유무역협정이며, 세계 최대 FTA이다.

※ GDP 합계 26조 달러

※ 인구 22억명

※ 무역비중 20%

- 한국은 22년 2월1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공식 발효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