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신문 스크랩
✔ <경상수지 흑자 전환> 기사 요약
8일 한국은행이 '22년 9월 국제수지(잠정)'을 발표했습니다. 8월 경상수지가 30억 5000만 달러 적자에서 9월 경상수지는 16억 1000만달러로 한 달 만에 흑자로 기록했습니다. 경상수지의 구성항목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전년 9월 대비 4억 9000만 달러로 3개월 만에 흑자 전환에 영향이 컸습니다. 상품수지의 수출은 전년 9월 대비 0.7% 감소했으며 수출 감소는 2020년 10월 이후 3.5%로 처음 감소했습니다. 품목별로는 석유와 승용차는 호조세였지만, 철강,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화공업이 감소하며 위축됐습니다. 또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의 경우 전년 9월 대비 6.5%로 4개월 연속 감소세입니다. 상품수지의 수입은 전년 9월 대비 18% 증가했으며, 원자재 수입 급증에 따른 자본재, 소비재 수입 확대의 원인으로 에너지 중심으로 증가했습니다. 품목별로는 원유, 가스, 석탄의 수입이 증가했으나 지난달 대비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감소한 수치입니다. 경상수지 구성항목인 서비스수지, 여행수지, 이전소득수지는 적자이며, 본원소득수지는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국제유가 등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수입 증가 속도가 수출 증가 속도를 압도했기 때문에 7월에 이어 두 번째로 저조하며, 올해 누적 흑자 규모는 지난해 대비 35%에 불과합니다. 당분간 경상수지는 전 세계적 경기 둔화로 개선되기는 힘들 것 같다는 관측입니다.
✔ PACT CHECK
◈ 경상수지 월별 지표 확인해보겠습니다.
✔ 경제 용어 정리
◈ 경상수지 :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말하며, 항목으로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으로 구성됩니다. 그중 상품수지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상품수지 : 상품을 수출한 금액과 수입한 금액의 차이입니다.
◈ 서비스수지 : 여행·운송·지적재산권 사용료 등을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의 수출과 지출의 차이입니다.
◈ 이전소득수지 :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말합니다.
◈ 본원소득수지 : 임금·배당·이자 등의 유출입을 반영합니다.
◈ 금융계정 : 자본의 유출입을 나타냅니다.
◈ 국제수지 : 일정기간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의 모든 경제적 거래를 분류한 것이며,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합니다.
✔ 스크랩 리뷰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 한국은 수출과 관련된 경제기사는 챙겨보며 새로운 용어를 체크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경기는 점점 안 좋아지는 시점에서 나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을 계속하게 됩니다.
'쏠쏠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규제 완화> 기사 (18) | 2022.11.11 |
---|---|
<미국 중간선거> 기사 (15) | 2022.11.10 |
"한달만에 강달러 주춤" 경제 기사 (12) | 2022.11.08 |
5년간 초격차 스타트업 1000개 육성 (26) | 2022.11.04 |
물가 상승 언제까지 갈까? (13)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