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말 동안 안타까운 사고로 마음이 무거워지는 시간이었습니다. 더 이상의 슬픈 소식이 들려오지 않기 바라며 깊이 애도합니다.
🎷 경제신문 스크랩
✔ WHAT? (무슨 일이야)
➤ 정부가 금리 교란 요인을 줄이고자 공공기관과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회사채 국내 발행 자제하고 해외서 자금 조달해달라고 권고했다.
✔ WHY? (왜)
➤ 국내 유동성 긴축이 강해지고 자금 시장 경색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 HOW? (구체적으로)
➤ 기획재정부가 우수한 신용등급을 갖고 있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 대상으로 회사채 발행할 때 해외에서 발행할 것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요청했다.
➺ 기재부는 올해 남은 기간 국고채 발행 물량 대폭 줄여 시장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 우량 공사채(AAA등급)의 한전이 올해만 23조원 넘는 회사채 발행했다. 이로 인해 한전 등의 공사채가 시장을 교란시키고 있다는 비판이다.
➤ 한전은 비판받으면서 왜 회사채를 많이 발행할까?
➺ 전력도매가격(SMP)가 가파르게 상승하여 한전이 1KWh당 전력 구입단가는 144.9원인데, 올해 인상분 반영한 판매단가는 116.4원이다. (1KWh의 전기를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 28.5원의 손실 발생)
➺ 한전의 적자 규모가 4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대규모 적자로 현금 유입이 어려워 회사채 발행 외에 마땅한 자금조달책이 없는 상황이다.
➺ 한전은 자금 확보를 위해 높은 금리의 채권 발행하고 있지만 투자자를 모집하지 못해 유찰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 금융위원회는 국책은행에 산업금융채(산금채), 특수채(공공부문이 발행한 채권) 발행을 최소화할 것을 요청했다.
➤ 금융당국은 해외 금융채 발행이 환위험 가능성이 있어 발행 자제하도록 했지만 국내 단기자금 시장 경색이 심해지자 환헤지를 하면 해외 채권 발행이 유리할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
➺ 국내 은행채 발행도 축소된다.
🎷 레고랜드로 인해 채권 시장에 미친 영향
➤ 2020년 11월 : 강원중도개발공사 2050억 원의 자산유동화 기업어음 ABCP 발행 / 강원도 지급 보증
➤ 2022년 9월 28일 : 김진태 강원도지사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신청
➤ 2022년 9월 29일 : 레고랜드 ABCP 지급 불이행 사태 발생
➤ 채권시장 불신 확대 / CP 1%포인트 급등, 금리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 / 회사채 금리 12년 만에 최고치 / 최고 신용등급 한국전력공사 등 채권 유찰 / 증권사, 건설사 부도설 정보지 확산
➤ 2022년 10월 23일 : 정부 50조원+ɑ 유동성 지원 대책(채안펀드 20조원+회사채, CP 매입 16조원 확대) / 지자체 보증 ABCP 지급보증의무 이행 약속
ꔚ 최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앞으로 주식 변동성이 더 커질 것이라 보고 투자의 정석으로 통했던 주식 60 : 채권40 비중을 주식40 : 채권60 으로 바꾸라고 조언했네요~
➤ 회사채, 국채 아닌 간접 상품은?
➺ 국내 채권형 ETF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단기채권액티브', 삼성자산운용 'KODEX 단기채권 PLUS'가 있다.
➤ 채권 투자시 유의사항은?
➺ 채권 발행 기업이 파산하면 원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신용등급 꼭 살펴야 한다.
➺ 만기수익률은 만기까지 보유 시 시장 상황 변동과 관계없이 받게 되는 총 확정이자수익이다.
➺ 채권 만기가 길수록 금리 하락에 따른 가격 상승폭이 커진다.
➤ 국채는?
➺ 경기 하락에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으로 국채 투자 중요성은 주목을 받을 것이다.
➤ 금리상승기가 지속되면 만기가 짧은 채권을 그렇지 않으면 만기가 긴 채권을 사는 게 유리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쏠쏠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환위기 이후 7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 (15) | 2022.11.02 |
---|---|
한국 경기침체 올까? (35) | 2022.11.01 |
연준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할까? (32) | 2022.10.28 |
공공주택 연1%대 40년 대출, 시세 70% 분양가 공급 (28) | 2022.10.27 |
현대차 3분기 실적발표 목표가는 상향일까? 하향일까? (19)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