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발표되었는데요. 지난 정부 때와 어떻게 바뀌었는지 스크랩 통해서 확인해 봅니다.
✔ 경제신문 스크랩 1
★ 산업통상자원부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 국회에 제출했다.
- 에너지 정책을 원자력 발전 중심으로 재편 핵심.
-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신재생 비중을 줄이면서 원전을 늘림.
★ 지난 정부는 탈원전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였는데 현 정부는 어떻게 변경될까?
기존(文 정부) 발전 비중 | ▶ ▶ |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전 비중 |
- 원전 발전량 23.9%, 24.7GW | - 원전 발전량 2030년 32.4%(↑), 2036년 34.6% , 2036년 31.7GW | |
- 액화천연가스(LNG)발전량 19.5%, 41.3GW | - 액화천연가스(LNG)발전량 22.9%(↑), 64.6GW | |
- 석탄 발전량 21.8%, 38.1GW | - 석탄발전량 19.7%(↓), 27.1GW | |
- 신재생 30.2% 태양광과 풍력 비중 87 대 13 |
- 신재생 21.6%(↓) 20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비중 60 대 40 변경. |
[기사 출처] : 원전 12기 수명연장·5기 신규 가동…발전량 비중 3위→1위로 (naver.com)
✔ 어제 '新성장 4.0 전략' 기사 스크랩에서 정책 수혜주 중 원전주가 산업정책 모멤텀으로 부각되었는데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원전이 중심이 되네요~
✔ 경제신문 스크랩 2
[기사 출처] : '흑자전환' 제주항공 고공행진 (naver.com)
★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종목 주가 고공비행.
- 일본 등 주요 노선 재개와 여행 수요 증가, 코로나 19 영향에서 벗어나 이익 정상화 가까워짐.
- 진에어 흑자전환 달성 예상, 제주항공 흑자전환 앞두고 있음.
- 내년 LCC 전망 긍정적 : 중국 방역 조치 완화로 중국 노선 회복 가세하면 국제선 여객 수요 증가 빨라질 전망.
✔ 진에어와 제주항공 주가 및 실적 확인해 보기
[진에어] | |
![]() |
![]() |
![]() |
[제주항공] | |
![]() |
![]() |
![]() |
반응형
'쏠쏠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달라지는 것들 (19) | 2023.01.02 |
---|---|
2022년 이슈 기사 & 카카오 먹통 피해 보상 (9) | 2022.12.30 |
정부 '新성장 4.0 전략' (10) | 2022.12.27 |
유망산업의 ETF (13) | 2022.12.12 |
美 장단기 국채 금리, 40년 만에 역전(경기침체?) (13)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