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는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순매수 기사 스크랩을 했는데요.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순매도로 돌아서는 기사가 올라왔네요~
🎷 경제신문 스크랩
✔ WHAT? (무슨 일이야)
➤ 투자자 예탁금(증권시장 대기자금)이 올초 약 71조 원보다 22조 급감했다.
✔ WHY? (왜)
➤ 불안한 증시시장에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최근 소폭 반등한 증시 급매도했다.
✔ HOW? (구체적으로)
➤ 반등 종목 중심으로 손절매 나선 개인투자자의 가장 많이 순매도한 종목은?
➺ SK하이닉스(4590억 원)와 삼성전자(4380억 원), LG에너지솔류션이다.
- 외국인 순매수 유입으로 각각 11.79%, 5.08%, 16.65 반등했다.
➤ 개인투자자들 매도 후 어디로 갈아탔을까?
➺ 고금리로 파킹통장 연 3.8% 등장, 정기예금 금리 연 5~6% 상품 등장했다. 지난 8월 정기 예·적금 규모가 전월대비 32조 1000억 원 급증했다.
➤ 증권사의 예탁금 이자는?
➺ 국내 증권사 중 KB증권과 토스 증권은 100만 원 이상 예탁금 맡길 경우 1%대 이자를 주고 대부분 증권사의 예탁금 이자는 0%대이다.
➤ 앞으로의 증시 전망은?
➺ 대신증권은 경기침체로 내년 초 코스피지수 하단 2050선으로 예상하고 있다.
➺ 한화투자증권은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자 예탁금(증권시장 대기자금)이 30조 원 내외 수준으로 우려했다.
🎷 용어 정리
✔ 투자자 예탁금(증권시장 대기자금)
➤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의 매매 또는 그 밖의 거래와 관련하여 예탁받은 자금이다.
✔ 파킹 통장
➤ 잠깐 주차를 하듯 목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으로 일반 수시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으며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 원금 보장된다.
✔ 역머니무브
➤ 경제사정이 좋지 않을 때 시중자금이 위험자산에서 안정 자산인 은행 예금으로 몰리는 현상을 말한다.
⟺ 머니무브
➤ 증시와 부동산이 호황을 이룰 때 은행 예금에서 증시와 부동산 등 고위험, 고수익 자산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ꔚ 증시 "파킹통장" 들어보셨나요?
➤ 단기금리 ETF는 기준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지지 않는 한 손실 위험이 없어 초기에 기관자금이 몰렸다가 최근에는 개인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위한 대기자금을 초단기금리 상장지수펀드(ETF)로 옮겼다.
➤ 초단기금리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은?
➺ KOEDX KOFR 금리 액티브 ETF : 설정액 1조 7583억 원 증가한 2조 9778억 원 집계됐다.
➺ KOFR ETF :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지수의 수익률(전날 기준 3.047%)를 추종하고 만기가 1일인 상품을 다루기 때문에 매일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지난 4월 말 순자산 2000억 원으로 상장 후 지난달 말 3조원을 넘어섰다.
➺ TIGER CD금리투자 KIS ETF : 단기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 금리를 따르며 하반기 신규 설정액이 9448억원이다.
➺ KODEX 단기변동금리부채권 액티브 ETF : CD금리 연계 변동금리부채권(FRN)에 투자하며 3037억원 투자금이 몰렸다.
➤ CD금리(91일)는?
➺ 올 초 1.30%에서 전날 기준 3.76%로 금리 인상에 따라 같이 높아진다.
➤ 초단기금리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은?
➺ 최근 3개월 수익률은 0.6~0.7%대, 손실 가능성이 낮고 금리 상승과 증시 하락 속에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 개인투자자들은 은행 예금으로 옮기지 않고 왜 초단기금리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으로 옮길까?
➺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 운용본부장 : 은행으로 돈을 옮기지 않고 매일 이자 받으며 목돈을 굴릴 수 있다, 특히 KOFR ETF는 금리 인상이 즉각 반영되는 장점이 있다.
🎷 저한테 초단기금리 상장지수펀드(ETF) 크게 와닿지 않네요~ CMA 통장도 매일 이자 3%대이지만 자금이 몰리지 않다고 합니다.
오늘 날짜로 은행 예금 네이버 검색해보니 우리은행 최고 5.1%, 저축은행은 상상인 뱅뱅뱅 회전 정기예금이 최고 6.0%이네요~
ꔚ 6년째 1.8% 제자리인 청약통장 이자율도 4%로 상향?
➤ 청약통장의 이자율이 6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3.0%) 상승과 연동해 과거의 4%로 상향될지 주목된다.
➤ 19일 주무부처인 국토재정부와 기획재정부는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의 예금금리를 높이기로 하고 상향 수준을 조율하고 있다.
➤ 언제 주택청약통장의 예금금리 확인 가능할까?
➺ 국토부와 기재부의 협의 ⟹사전규제심사 ⟹ 행정예고 ⟹ 국민주택기금운용위원회의 심의 ⟹ 최종 국토부 장관이 고시한다.
➺ 통상 상향 방침이 정해지면 행정 절차 한 달이 소요된다.
➤ 과거 주택청약통장 2년 이상 이자율 상승 추이는?
1982년 7월23일 ~ 1985년12월31일 : 6.0% | 2013년 7월22일 ~ 2014년 9월30일 : 3.3% |
1986년 1월 1일 ~ 1992년 7월12일 : 8.0% | 2014년10월 1일~ 2015년 2월28일 : 3.0% |
1992년 7월13일 ~ 2002년10월28일 : 10.0% | 2015년 3월 1일 ~ 6월21일 : 2.8% |
2002년10월29일 ~ 2006년 2월23일 : 6.0% | 2015년 6월22일 ~ 10월11일 : 2.5% |
2006년 2월24일 ~ 2012년12월20일 : 4.5% | 2015년10월12일 ~ 2016년 1월 3일 : 2.2% |
2012년12월21일 ~ 2013년 7월21일 : 4.0% | 2016년 1월 4일 ~ 8월 11일 : 2.0% |
2016년 8월12일 ~ 2022년 : 1.8% |
➤ 주택청약주택 예금금리 상향하려는 이유는?
➺ 최근 주택 거래절벽으로 국민주택채권 수입이 줄고 경기침체로 청약통장 해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서다.
'쏠쏠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정유업계 위기? 기회? (15) | 2022.10.25 |
---|---|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 최장 기간 상승 (13) | 2022.10.24 |
2차전지, 반도체 기업에 외국인들 몰렸다 (11) | 2022.10.19 |
IMF의 통화스와프 강조 (12) | 2022.10.18 |
채안펀드!? (11)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