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초보 경제용어정리)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힘들어진 요즘입니다. ㅠㅠ
22.9.23 금요일 경제신문 스크랩 내용이 많아서 오늘은 그 내용에 맞는 경제 용어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신문 스크랩을 하기 전에는 별생각 없이 '아~ 그렇구나'라고 하며 넘어갔는데 이번 스크랩을 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연결되는 많더라고요... 그것도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자~ 그럼 하나씩 용어 공부해 보겠습니다.
✔ 미국 중앙은행(Fed)가 기준금리 0.75%P(자이언트스텝) 인상했다. ✔ Fed 점도표를 통해 올해 말 FOMC 인사들의 중간값의 예산금리를 연 4.4% 내다봤다. |
🎷 경제 용어정리
➤ 미국 중앙은행(Fed, Federal Reserve System)
미국 연방준비제도라고도 한다.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관이다.(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처럼 미국의 중앙은행이죠.)
➺ 주요 기능으로는 미국 달러의 발행, 미국 내 통화정책의 관장, 은행·금융 기관 감독과 규제, 금융 체계의 안정성 유지, 미국 정부와 일반 및 금융기관 등에 대한 금융 서비스 제공을 한다.
➺ 연방준비제도는 미국 전역을 12개 '연방준비구'로 나누어 각 지구마다 '연방준비은행'을 두고, 이들 준비은행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한다. 12개 연방준비은행은 워싱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의하여 총괄 운영되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미국 연방 재무부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통칭 FRB라 불리는 연방 준비제도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다.
14년 단임 이사 7인으로 구성되며 대통령이 상원의 승인을 얻어 임명한다. 7명의 이사는 2년마다 1명씩 교체되는 방식이며 대통령은 4년 임기 중에 2명의 이사는 임명할 수 있는 구조이다. 7명의 이사 중에서 대통령이 4년 임기의 FRB의장을 임명하며 금리 결정 등 통화정책 권한은 철저히 독립적으로 행사한다. FRB의장은 세계 경제 대통령으로 불릴 정도로 금융정책에 관해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갖고 있다.(현재 FRB의장은 제롬 파월입니다.)
➺ 주요기능으로는 통화정책 수립, 증거금 책정, 소비자 신용 관련 연방 법 시행령 개발, 집행. 미국의 방대한 결제 체계의 원활한 작동과 지속적인 발전 보장, 연방준비제도 회원 은행들, 은행 지주 회사들, 미국 내 국제 금융기관들, 엣지 법 법인들, 회원 은행들의 대외 활동 그리고 외국 은행의 미국 내 활동 관리, 감독을 한다.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Fdeeral Open Market Committee)
중앙은행인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산하에서 공개시장조작의 수립과 집행을 담당한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와 비슷해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매월 공개시장조작에 대하여 정책보고서를 발표한다. 통화량의 추이에 따라 공개시장조작 정책을 정하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융정책을 제시한다. 위원회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7명은 연방준비제도위원회 이사이고 5명은 각 지역 연방은행의 총재이다. 위원회의 의장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겸임하며, 부의장은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맡는다.
➤ 점도표
FOMC회의에 참석한 의원이 금리를 결정하는데 점 하나가 해당 의원이 제시한 기준금리를 나타낸다. 향후 기준금리에 대한 의견으로 점 하나당 의원 1명의 의사표시이다.
<FOMC 점도표는 1년에 4번 3,6,9,12윌 회의 후 발표되고 있고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홈페이지의 FOMC 의사록 페이지로 들어가서 3,6,9,12월의 Projecttion Materials 자료를 보시면 됩니다.>
22년에는 4.375%까지 상승 예상, 2023년 4.625%
상승시키고 24년도부터 금리가 하락하기 시작하네요....
2022 FOMC 일정 | 2022 금통위 일정 |
한국시간 기준발표 | |
1회 : 01/27 금리동결, 기준금리 0.25% 2회 : 03/27 0.25% 인상, 기준금리 0.5% 3회 : 05/05 0.5% 인상, 기준금리 1% 4회 : 06/16 0.75% 인상, 기준금리 1.75% 5회 : 07/28 0.75% 인상, 기준금리 2.5% 6회 : 09/22 0.75% 인상, 기준금리 3.25% 7회 : 11/03 8회 : 12/15 |
1회 : 01/14 0.25% 인상, 기준금리 1.25% 2회 : 02/24 기준금리 동결, 기준금리 1.25% 3회 : 04/14 0.25% 인상, 기준금리 1.5% 4회 : 05/26 0.25% 인상, 기준금리 1.75% 5회 : 07/13 0.5% 인상, 기준금리 2.25% 6회 : 08/25 0.25% 인상, 기준금리 2.5% 7회 : 10/14 8회 : 11/24 |
➤ 자이언트스텝
금리를 한 번에 0.75bp 올리는 것.
ꔚ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물가 조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0.25%P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베이비스텝이라고 한다.
베이비 스텝으로 물가 상승을 잡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는데 이것을 빅스텝, 빅스텝으로도 물가를 내리지 못하면 0.75%P 올리는 것을 자이언트 스탭이라고 한다.
용어 정리하면서 저도 다시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네요. 다음달 미국이 금리 발표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네요^^